로그인

검색

파라메타 소개 2 - 주요구성요소(1) (아이콘루프 / 아이콘 / ICX)

김똥글

 

02.png

 

 

안녕하세요, 아이콘루프입니다. 

지난 포스트에서는 파라메타의 탄생 배경과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연결하여 이번 포스트에서는 파라메타의 구성요소 하나하나에 대해서 조금 더 상세하게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PARAMETA의 구성요소 

 

 

1. 블록체인 핵심 - 루프체인

 

첫째로 블록체인 코어인 루프체인입니다.

블록체인 사업 초기부터 다른 오픈 소스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개발한 루프체인은 블록체인의 기본인 분산저장, 보안성, 탈중앙성을 지키면서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 블록체인 코어 엔진입니다.

 

PBFT기반의 합의 알고리즘으로 빠른 finality와 높은 TPS를 제공하고, gossip과 structured 네트워크의 장점을 잘 활용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p2p 네트워크를 자체 구축하였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가장 많은 개발자를 보유한 파이썬(python)과 Java를 지원하며, 향후에는 Solidity와 Wasm까지 제공될 예정입니다. 거버넌스를 별도로 개발할 수 있도록 코어에서 분리한 것도 특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성능을 위해서 PBFT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 것 외에도, 트랜잭션을 병렬(Parallel Execution of Tx)로 실행을 통해 처리능력 향상, 멀티 채널 기술을 통해 서비스 별로 다른 채널을 할당하여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인터체인 프로토콜 'BTP'를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인터체인은 블록체인 코어에서 부터 지원되어야 그 보안성을 블록체인 만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코어에 적용되어 있지 않으면, 보안성을 위해 별도의 검증자 셋(Validator Set)을 적용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오버헤드이거나 보안이 낮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코어에 인터체인 적용되어 있으면 해당 블록체인의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어 기존의 검증자 기반의 브릿지를 이용한 인터체인 보다 더 나은 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03.png

 

 

 

 

 

 


2. 거버넌스 & 토큰 이코노미

거버넌스(정책/경영) 구축은 독자적인 메인넷을 구축해야 하는 핵심적인 이유가 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메인넷은 각 프로젝트의 비지니스 로직을 포함시켜 그에 최적화된 거버넌스와 토큰 이코노미(토큰 경제)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지니스 로직의 복잡성이 높을 수록 기존 메인넷에서 개스비(수수료)나 스마트 컨트랙트의 제한 등 여러가지 이유로 구현하기 어려워지죠. 그래서 독자적인 메인넷을 구축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버넌스와 토큰이코노미가 복잡해짐에 따라 충분한 검증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아이콘루프의 경우, 아이콘에서의 거버넌스 투표 시스템, 토큰 이코노믹스, 블록 보상, 참여자에 대한 인센티브 구조, 하바 메인넷에서 보상 재원 마련 등 다양한 요구사항에 맞추 기술 개발 뿐만 아니라 실제 운영 경험을 쌓아 보다 최적화되고 안정적인 설계 및 구축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04.png

 

개발 편의를 위해 일반화 하여 모듈이나 라이브러리 형식과 같은 기본형태를 제공하고자 하고는 있지만 각 프로젝트마다 비즈니스 방향 및 변수, 다양한 환경에 따라 컨설팅 없이 진행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어 이와 같은 기존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 결과물을 활용하면 다소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도 손쉽게 구현이 가능할 것입니다. 

 

또한 이런 비즈니스 로직은 블록체인 코어의 합의 알고리즘과 관련성이 높아 코어를 수정해야 하는데 기존 블록체인을 포크해서 수정하는 방식은 자칫하면 개발난이도의 급상승과 함께 안정성이 떨어뜨릴 수 있어 직접 메인넷을 개발하거나 코어 기술을 가진 업체의 지원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블록체인 간 연결 - BTP

파라메타의 가장 큰 차별화 포인트는 인터체인 기술입니다.

아이콘루프는 블록체인 사업 초기부터 다양한 메인넷이 활성화될 것을 예상하고 인터체인 기술 개발에 매진해 왔었습니다. 그 결과로 자체적인 인터체인 프로토콜, BTP를 개발하여 상용화하였고, 현재 ICON 메인넷에 1.1 버전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05.png

ICON Project Github (https://github.com/icon-project)

 

 

BTP는 다른 종류의 블록체인 간에 데이터 및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인터체인 프로토콜입니다. 

 

 

 

보통, 인터체인이라고 하면 자산 토큰을 이동시키는 브릿지가 떠오르실 텐데요, 블록체인에서의 자산 이동은 한쪽 블록체인에서 토큰을 잠그고 그만큼 다른 블록체인에서 새로운 토큰을 발행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이동 시킵니다.

 

이때 현재 브릿지들은 한쪽 블록체인에서 토큰이 잠김되었다는 것을 중간의 TTP (Trusted 3rd Party/신뢰할 수 있는 제 3자)가 검증해주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TTP를 탈중앙화 시킨다고 해서 별도의 블록체인으로 구성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제3자(TTP) 검증 방식은 결국 블록체인에서 보안상 취약점으로 작용하고 있어 보안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의 로닌 브릿지, 하모니(Harmony)의 '호라이즌 브릿지'의 경우가 이런 중간 검증자 방식의 브리지에서 나타난 보안사고 라고 볼 수 있습니다.

 

06.png

 

 

 

 

 

BTP는 이러한 중간의 TTP 없이, 소스 블록체인의 보안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산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인터체인 기술입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로만 구성되고, 상대 체인을 검증할 수 있는 lite client 형식의 검증자인 BMV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중간에 TTP없이도 각 블록체인의 보안성을 유지하는 구조 (신뢰를 필요치 않는 / Trustless)로 보안성이 크게 강화됩니다.

 

 

07.png

 


BMC (BTP Message Center) 에서 상대 블록체인에 전달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대 BMV (BTP Message Verifier)가 검증하는 것이 핵심이며, 이 과정이 스마트 컨트랙트로 이루어져서 신뢰할 수 있는 것입니다. 

 

 

BTP를 이용하면 다른 블록체인에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호출할 수 있으며,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성되다보니, 블록체인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스마트 컨트랙트가 지원되는 블록체인이면 모두 연결 가능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08.png

 

 

파라메타에서 제공되는 브릿지는 BTP를 기반으로하는 브릿지로서 자산 이동 시 보안성이 크게 향상된 것이 장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와 BTP 메세지(Message)를 전달하는 릴레이(Rela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BTP 관련한 BMC, BMV가 있고, 브릿지 서비스 관련된 자김(Lock), 발행(Mint), 소각(Burn) 스마트 컨트랙트가 있습니다. 

 

 

목적(Target) 블록체인으로 이전할 토큰을 락커(Locker)에 보내서 잠금(Lock) 시키면, 잠금(Lock) 되었다는 메시지가 proof와 함께 생성되고, 이를 릴레이어(Relay)가 목적 블록체인으로 전달합니다. 목적 블록체인에서는 BMV를 통해서 들어온 BTP 메세지를 검증하고, 이상이 없으면 잠김 된 만큼 발행처(Minter)에서 새로운 래핑 토큰(Wrapped token/목적 블록체인 맞춘 토큰)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중간에 별도의 검증자를 두고 있지 않고, 소스 블록체인의 proof를 그대로 이용하여 검증하므로, 보안 이슈가 없습니다.

 

 

 

 

 

앞에서 브릿지 서비스의 구현 방법에 있어서 두 종류를 설명 했었는데, 그 차이점을 잠깐 정리하고 넘어가고자 합니다. 

 

공증인(Notary) 방식, 즉 중간에 검증인이 끼어있는 방식은 이 검증인들이 소스 블록체인 (블록체인 A)의 tx에 대해서 검증하고, 그 결과를 전달하는데, T목적 블록체인(블록체인 B)에서는 이 중간 공증인(Notary) 검증인들의 서명을 믿고 실행하게 됩니다. 소스 블록체인의 보안성이 아무리 높더라도, 중간 검증인이 탈중앙화 되어 있지 않거나, 보안 수준이 낮으면, 전체 브릿지 서비스의 보안 수준이 낮아지게 됩니다.

 

만약 이 중간 검증자 중 일부가 해킹되면 이 브릿지는 해커가 원하는데로 목적 블록체인에서 토큰을 발행할 수 있게 되죠. 앞서 언급한 엑시 인피니티의 로닌 브릿지, 하모니 호라이즌 브릿지 등 사고가 이런 이유로 발생했었습니다.

 

 

 

BTP 방식, 릴레이(Relay) 방식이라고도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제3자(TTP)와 같은 중간 검증자가 없습니다. 릴레이라고 표현된 이 컴포넌트는 소스 블록체인에서 발생한 BTP 메세지와 그를 증명할 수 있는 Proof를 그대로 목적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릴레이가 그 메시지를 수정하게되면 목적지에서 그 위변조 여부가 즉시 확인됩니다.

 

따라서, BTP 방식은 소스(Source) 블록체인의 보안성을 그대로 가져간다라고 볼 수 있고, 소스 블록체인이 해킹되지 않는 한 해킹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10.png

Notary VS. Relay

 

 

릴레이 방식의 경우, 기술 난이도가 높은 편이고, 스마트 컨트랙트로 검증하다보니 Gas(수수료)가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고비용)이 있어, 실제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었는데, BTP의 경우 가스 비용을 해결한 솔루션이므로 앞으로 브리지 서비스에 많이 적용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앞서 파라메타의 주요 구성요소 중 가장 큰 특징이자 블록체인 플랫폼 메인넷(MainNet) 구축시 중요사항인 코어엔진과 거버넌스&토큰이코노미, 인터체인에 대한 사항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플랫폼상 다양한 비즈니스를 전개할 수 있는 기본적인 서비스와 개발 및 관리도구 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ife Meets Blockchain, ICONLOOP
 

 

 

K-2.png

 

 

 

출처: https://blog.naver.com/hello_iconloop/222791087091

 

 

 

[관련글]

파라메타 소개 1 - 파라메타란?

파라메타 소개 2 - 주요구성요소(1)

파라메타 소개 3 - 주요구성요소(2)

 

 

 

댓글 0개